청년희망적금 가입 방법과 조건

청년희망적금 가입 방법과 조건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2022년에 도입된 상품으로 청년들을 위해 정부에서 만든 적금 제도이며, 대상자가 된다면 큰 이득을 볼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신청을 하였습니다.

‘청년희망적금’은 시중 금리와 비교하여 높은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 저소득층, 차상위계층 분들 뿐만 아니라 대상자 범위가 넓어 많은 분들의 관심이 쏠렸습니다.

월 50만 원까지 납입이 가능한 2년 만기 상품으로 짧은 기간 안에 이자만 72만원을 받을 수 있는 적금으로 심지어 전액 비과세가 되어 세금 한 푼 내지 않고 모든 이자를 받아갈 수 있는 적금입니다.




가입 조건만 맞는다면 가입을 안 할 이유가 없을 만큼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.

지금부터 ‘청년희망적금’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
청년창업자금

청년희망적금 가입조건

가입 연령

만 19 ~ 만 34세 이하, 단 병역 기간은 제외되고 복무 기간이 2년 이라면 36세까지 지원이 가능. ( 최대 6년까지 제외해줌)

소득요건

  • ① 총 급여액 3.600만원 이하
    근로소득만 있거나 근로소득 + 종합소득이 과세표준에 합산되지 않은 종합소득이 있는 경우.
  • ② 종합소득 2.600만 원 이하.
  • ③ 가입일 직전 과세 기간의 소득이 없는 경우 재작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함.
  • ④ 일정 기간 국내에 거주하며 세금을 납부한 외국인도 자격 조건 충족 시 가입 가능.

중소기업청년전세자금

청년희망적금 이자




은행 이자 연 5% 시 월 최대 납입 금액인 50만 원이면 만기 시 625,000만 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고,  저축 장려금 350,000만 원의 추가 혜택까지 합하면 12,985,000만 원의 금액을 수령하게 됩니다.

일반 적금으로 치면 9.31%에 해당되며 약 98만 원의 이자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.

요즘은 예전만큼 높은 금리를 찾아보기 힘든데 정부 지원금까지 받아 목돈을 마련할 수 있으니 조건이 되면 작은 금액이라도 가입하시길 추천 드립니다.

청년희망적금은 2022년 2월 21일 출시되어 3월 4일까지 2주간 가입이 가능했던 상품으로 출생연도별 5부제 시행하여 가입을 해야하던 정도이니 그 인기가 대단했습니다.

지금은 가입이 안되는 상품으로써 정부에서는 2023년 새롭게 내놓은 카드가 있습니다.

청년도약계좌

이 상품은 5년 간 가입하면 5,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고 정부의 지원도 크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을 놓치신 분들은 청년도약계좌를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.


오늘은 청년희망적금 가입 방법과 조건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.

2022년도에 실시한 정책으로 지금은 가입이 되지 않지만 정부에서는 새로운 많은 정책들을 만들고 있습니다.

여러가지 정책 잘 활용하시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그럼 다음에도 좋은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.

[함께 보면 유용한 글]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